The Musical

더뮤지컬

magazine 국내 유일의 뮤지컬 전문지 더뮤지컬이 취재한 뮤지컬계 이슈와 인물

인터뷰 | [SPOTLIGHT] <레 미제라블> 조정은, 오랜 꿈을 넘어서 [No.115]

글 |나윤정 사진 |김호근 2013-04-08 5,386

대부분의 동화는 주인공이 꿈을 이루는 순간에 끝을 맺는다. 이러한 해피엔딩이 현실에서도 유효할까? 동화가 아닌 이상 시간은 멈추지 않고 흐른다. 꿈이 현실이 되었을 때 우리를 기다리는 것은 또 다른 시작이다. 지금 조정은의 시간은 <레 미제라블>의 판틴 앞을 지나고 있다.
무대 위 조정은은 언제나 동화 속 해피엔딩에 멈춰 있는 것 같았다. 하지만 무대 밖 그녀는 오랜 꿈을 넘어 다음 이야기를 이어가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과 싸우고 있었다. 판틴으로, 배우로, 그리고 조정은으로.

 

 메이크업·헤어 | 이창은, 진주(라메종0809) 스타일리스트 | 이지영

 


드디어 <레 미제라블>이 서울 공연을 앞두고 있네요. 장기간의 지방 공연을 끝내고 오랜만에 갖는 휴식인데, 어떻게 지내고 계세요?
지금 배터리 충전 중이에요. 정말 잘 쉬고 있죠. 특별한 일을 하기보단, 그동안 만나지 못했던 친한 친구들과 수다도 떨고 책도 읽으면서 편히 지내고 있어요. 그러다가 서울 공연 오픈을 생각하면 살짝 떨리기도 하고요.


지난해 11월 용인을 시작으로 대구, 부산에서 <레 미제라블> 공연을 했어요. 지방 투어를 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들었는데, 힘든 점은 없었나요?
개인적으로 지방 투어는 참 좋은 과정이었어요. 지역의 극장들이 다 달라요. 대구 공연장은 굉장히 크고, 부산 공연장은 규모가 작았죠. 작은 극장에서는 디테일한 것들을 잘 살리고, 큰 공연장에서는 디테일한 부분을 크게 표현하는 연습을 하며 무대에 적응해 갔어요. 특정 공간에서는 어떻게 하면 연기나 노래가 잘 전달되는지 공연을 통해 배울 수 있었죠. 배우들끼리 동고동락하면서 단단해지기도 했고요. 두 달가량의 시간을 한 극장, 한 숙소에 같이 지내면서 더욱 끈끈해졌죠. 그래서인지 용인, 대구, 부산 공연을 모두 본 분들은 작품의 결이 점점 단단해지는 느낌이라고 하더라고요. 연습실에서 하는 연습 이상의 연습을 한 것 같아요.


영화의 성공에 힘입어 ‘레 미제라블’ 열풍이 불었어요. 무대에서도 이를 실감했나요?
<레 미제라블>을 한다고 했을 때 뮤지컬에 관심 있는 사람이 아니면 잘 알지 못했어요. 그런데 영화가 개봉하고 나니깐 더 관심을 보이더라고요. 반응이 확실히 다른 것 같아요. 워낙 잘 만든 영화고 무대에서 보여줄 수 없는 디테일한 이야기를 친절히 설명해 주니깐 참 좋더라고요. 사실 공연 도중에 영화가 개봉한 것이 장단점이 있어요. 굳이 홍보를 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알려졌지만, 한편으론 그게 부담이 되기도 했어요.


대구 공연 당시 배우들이 함께 영화를 관람했죠. 무대 위 판틴이 영화 속 판틴을 마주한 기분은 어땠어요?
앤 해서웨이=판틴! 이야기 속으로 빨려 들어갈 수밖에 없게끔 역할을 잘 소화해냈어요. 배우로서 정말 아름다워 보였죠. 가끔 차에서 OST를 듣는데, 노래만으로도 이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 뭘 이야기하려고 하는지 공감돼요. 하지만 공연할 때는 일부러 안 들었어요. 드라마 구성상 무대에서 ‘I Dreamed a Dream’은 영화와 너무 다른 노래거든요.


무대에서 ‘I Dreamed a Dream’은 어떤 정서를 담고 있나요?
영화에서는 처참한 일들을 겪은 판틴이 절망의 끝자락에서 부르는 노래잖아요. 뮤지컬에서는 판틴이 공장에서 쫓겨나자마자 이 노래를 불러요. 이제 막 절망이 시작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감정을 끌어내는 게 쉽지 않죠. 기존 작품과 앞뒤 상황이 달라져서 혼란스럽기도 했어요. 그래서 연출의 디렉션에 최대한 집중해서 이 노래가 나올 수밖에 없게 된 상황에 몰입했어요. 관객들을 잘 설득해 판틴을 순진하고 순수한 여자로 느끼게끔 공감을 이끌어내는 게 제 몫이에요.


<레 미제라블>을 처음 접했을 때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요. 계원예고 시절, 김달중 연출의 수업을 들으면서 <레 미제라블> 영상을 처음 봤다고요?
선생님이 외국에서 <레 미제라블> 10주년 기념 DVD를 구입해 오셨어요. 당시 한국에선 구할 수 없는 영상이었죠. 콘서트였지만 연기, 노래, 모든 것이 완벽했어요. 너무 충격적이었죠. 그때 레아 살롱가를 보고 놀랐어요. 무대에 오른 유일한 동양인이었거든요. 그래서 레아 살롱가는 제가 참 좋아하는 배우에요. <레 미제라블>을 무대에서 처음 본 것 역시 고등학교 때였어요. 교복을 입고 해외 투어 공연을 보러 갔죠. 그때 마리우스와 코제트의 결혼식 장면에서 살짝 졸았던 기억도 나네요.(웃음)


그 당시 끌렸던 역할은 무엇이었나요?
에포닌이었어요. 5년 전, 에포닌으로 <레 미제라블> 오디션을 보고 떨어지기도 했어요. 그땐 제가 판틴을 하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죠. 신기하게 이번엔 에포닌에게 마음이 안 가더라고요. 판틴의 상황이나 노래들이 귀에 들어왔죠. 그만큼 나이를 먹어서인 것 같아요. 시간이 흐르긴 했구나 싶어요.

 

 

 

원캐스트인 데다가 송스루 뮤지컬이다 보니 배우에게 부담감이 클 것 같아요. 실제로 무대에 올라보니 어떠세요?
작품이 흠 잡을 수 없을 만큼 완벽하기 때문에 계속 무대에 올라도 질리지가 않아요. 지금도 음악이 나오면 너무 떨려요. 배우들이 하나같이 이 작품은 긴장을 풀 수가 없다고 입을 모아요. 앙상블에서부터 장 발장까지, 역할이 작든 크든 다 긴장을 해요. 성화 오빠도 “이쯤 되면 어떤 걸 더 보여줄까 생각하는 타이밍인데 그럴 수가 없다”라는 말을 했어요. 나만 그런 것이 아니구나 격려도 되고 위로도 됐죠. 또 작품이 송스루다 보니 한국말의 한계가 느껴질 때 제일 속상해요. 아무리 가사를 잘 붙인다고 해도 원어 그대로의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있잖아요. 항상 긴장된 상태에서 가사를 잘 공감할 수 있게 전달하려고 고민해요.


배우들을 긴장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요?
무대에 오르면서 가장 크게 느낀 건 ‘아, 이 작품이 정말 훌륭하구나!’예요. 메시지도 좋고 음악도 아름답고, 어느 하나 아쉬운 부분이 없어요. 그런데 작품이 참 좋은데 배우가 너무 아쉽다는 소리를 들으면 안 되잖아요. 저는 지금 이 작품의 한 퍼즐이에요. 퍼즐이 작든 크든 내가 그 퍼즐이 들어갈 곳에 잘 맞게끔 역할을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큰 거죠. 고무줄이 팽팽히 당겨져 있는 느낌이에요. 이 작품을 잘 마무리하고 나면 이젠 어려운 게 없을  것 같아요. 그만큼 무대가 저를 트레이닝 시키고 있어요.


공연을 하는 동안 배우 조정은이 느낀 판틴은 어떤 인물인가요?
판틴은 꿈의 상징이에요. 냉정한 현실과 맞부딪혀 꿈이 점점 무너져갈 때 가장 큰 절망을 느끼는 역할이잖아요. 무대에서 판틴은 영화와 달리 압축적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뭔가 거창하기보다는 정말 순수해 보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소녀 같은 순수함이 아니라 꿈에 대해서만큼은 정말 순진한 인물인 거죠.


결국 판틴의 꿈은 이루어진 걸까요?
네. 저는 이루어졌다고 생각해요. 장 발장이 그녀의 딸을 끝까지 잘 보살펴주었고, 또 마지막에 판틴이 나와서 장 발장을 데리고 가잖아요. 판틴이란 여자가 어렸을 때 꿈꾸었던 순진하고 순수한 사랑은 깨졌을지라도 또 다른 사랑, 즉 코제트에 대한 엄마로서의 사랑은 이루어진 것 같아요. 그래서 마지막에 그렇게 행복하게 보이지 않았을까요?


결국 <레 미제라블> 속 인물들은 치열하게 세상의 변화를 이루어내죠. 그러한 에너지가 배우 조정은에게도 영향을 끼칠 것 같아요.
저도 이 작품을 끝냈을 때 제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요. <맨 오브 라만차>의 알돈자에 이어 <레 미제라블>의 판틴을 연기하면서 사실 절망을 많이 느꼈어요. 역할 때문에 느껴지는 절망도 있고, 이 역할을 맡은 배우로서 느끼는 절망도 있었어요. 그동안 마음이 좀 복잡했어요. 배우로서 한계도 많이 느꼈고, 아무도 공감할 수 없는 외로움도 많이 느꼈거든요. 그동안 스스로를 너무 몰아세웠던 탓도 있고요. 이번에 판틴 역을 맡으면서 제 안에서 바닥을 치는 순간들이 많았어요. 바닥까지 가지 않으려고 발버둥도 쳐봤고, 그냥 놓아버리고 바닥을 쳐야겠다는 마음도 먹었죠. 하지만 한편으론 지금 시점에서 이 작품을 하게 된 것이 다행이란 생각이 들어요. 판틴이 배우로서의 조정은, 서른다섯 살의 한 사람으로서의 조정은과 딱 맞아떨어지는 것 같거든요. 지금은 절망들을 겪어내는 시기인 거고, 작품이 끝났을 땐 조금 더 가벼워져 있을 것 같아요. <레 미제라블>은 정말 제게 의미가 큰 작품이에요.


이러한 시기가 뮤지컬에 대한 생각도 변화를 시켰을 것 같은데요?
어렸을 때부터 지금까지 뮤지컬은 ‘꿈’이었어요. 이제는 정말 내 직업으로 바뀌는 순간에 와 있는 것 같아요. 뮤지컬 배우라는 꿈을 위해 달려왔어요. 목표가 확실했죠. 잘하는 배우들을 보면 부럽기도 하고 약 오르기도 했고요. 꿈을 좇아 여기까지 왔는데 꿈이 직업으로 바뀌면서 좀 혼란스러웠어요. 지금까지 작품이 제 인생의 90%였거든요. 그렇다고 결과물이 항상 좋았던 건 아닌데, 너무 고지식하고 순진하게 작품에 내 인생을 다 건 게 아닌가 싶기도 해요. 작품은 작품일 뿐 오해하지 말자.(웃음) 이제 그 비율을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저도 즐겁고 배역에도 충실할 수 있는 방향을 찾으려고 해요. 지금 뮤지컬이 저에게 주는 의미는 확실히 달라졌어요. 더 이상 꿈이라기보다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큰 스승 같은 존재에요. 작품을 통해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뿐 아니라 제 교만함도 보고, 절망도 느끼고, 순리도 깨닫고 있어요. 이제 뮤지컬은 나를 돌아보게 하는 큰 매개체인 거죠.

 

* 본 기사는 월간 <더뮤지컬> 통권 제115호 2013년 4월호 게재기사입니다.

* 본 기사와 사진은 “더뮤지컬”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으며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어길 시에는 민, 형사상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네이버TV

트위터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