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usical

magazine 국내 유일의 뮤지컬 전문지 더뮤지컬이 취재한 뮤지컬계 이슈와 인물

  • 피처 | [SPECIAL] 매혹의 근대 도시 경성 [NO.170]

    2017-12-08 8,636

    <사의 찬미>, <팬레터>,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배니싱> 등 최근 관객들과 만난 이들 작품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작품의 배경이 경성이라는 것!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의 비극을 품고 있으면서도, 근대 문..

  • 피처 | [SPECIAL] 뮤지컬로 보는 경성의 유행 [NO.170]

    2017-12-08 4,811

    뮤지컬로 보는 경성의 유행<사의 찬미> 정사(情死)1920년대를 휩쓴 연애열의 중심에는 ‘사랑은 죽음과 만날 때 가장 강렬하고 순수하게 타오른다’는 발상이 자리하고 있었다. 연인 간의 동반 자살을 뜻하는 정사(..

  • 피처 | [SPECIAL] <사의 찬미> 속 경성 [NO.170]

    2017-12-06 6,086

    INTERVIEW   성종완 작가·김은영 작곡가   경성 시대를 풍미했던 윤심덕과 김우진, 이 소재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인가? 성종완 개발 당시부터 작품 제목이 ‘글루미데이’로 먼저 정해져 있었다. 그에..

  • 피처 | [SPECIAL] <팬레터> 속 경성 [NO.170]

    2017-12-06 6,726

        INTERVIEW   한재은 작가·박현숙 작곡가   최근 경성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이 많아졌다.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한재은 기본적으로 경성 시대는 현대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

  • 피처 | [SPECIAL]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속 경성 [NO.170]

    2017-12-06 5,677

        INTERVIEW   박해림 작가·채한울 작곡가   경성 시대, 백석과 자야의 이야기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인가. 박해림 사실 특별히 경성 시대라는 배경 속에서 소재를 선택한 건 아니었다. 경성 시..

  • 피처 | [IT ITEM]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MD [NO.170]

    2017-12-06 5,887

    1 에코백 15,000원 / 파우치 8,000원  대사와 가사가 대부분 백석의 시로 이루어진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MD에서도 시가 주는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느낌을 전하려 했다. 에코백과 파우치는 ‘나와 나타샤와 ..

  • 피처 | [CONCEPT PIC] 정상윤의 컨셉 사진 [NO.170]

    2017-12-06 4,188

    작품별 컨셉 사진으로 돌아보는 배우의 변신 “포스터나 컨셉 사진은 공연에 앞서 관객과 만날 수 있는 하나의 통로잖아요. 어떻게 보면 작품의 첫인상이 될 수 있는 첫 번째 관문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

  • 피처 | [ZOOM IN] ‘두스인프레임’ 스토리 박스 [NO.170]

    2017-12-06 5,113

    감동을 상자 속에 담는 법“난 정말 꼭 알고 싶어. 영원한 추억을 갖는 법. 마법 같은 순간 지나가지 않게 간직해 두는 법.” 뮤지컬 <레베카>의 넘버 ‘행복을 병 속에 담는 법’은 행복한 기억이 사라지지 않게 병..

  • 피처 | [FOCUS]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바란다 [NO.170]

    2017-12-05 4,528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이하 KOPIS)의 원활한 정착을 위한 두 번째 좌담으로 이번 호에서는 공연 데이터의 현재를 살펴보고 공연 마케터와 연구자, 정책 입안자의 입장에서 KOPIS에 바라는 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번 ..

  • 피처 | [ZOOM IN] 재관람 도장 파헤치기 [NO.170]

    2017-12-05 6,332

    ‘콩콩’ 찍는 발자취장면 1. “앗, 이번에는 앨빈으로 찍어주시면 안 될까요? 뒷면에요!” “앨빈 재관람 확인 도장 말씀하시는 거죠?”장면 2. “도장은 어떤 배우님으로 찍어드릴까요?” “이규형 배우님으로 찍..

네이버TV

트위터

페이스북